강화 삼랑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화 삼랑성은 정족산성이라고도 불리며,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성이다. 삼국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에 보수되었고, 조선 영조 15년(1739)에 성을 다시 쌓았다. 현종 1년(1660)에는 마니산 사고에 보관되어 있던 《조선왕조실록》을 정족산사고로 옮겨 보관했다. 병인양요(1866) 당시 프랑스군을 물리친 격전지이며, 1976년에 남문인 종해루가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사적 - 답동성당
답동성당은 1897년 건립되어 1937년 증축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 중 하나로, 벽돌조 고딕 양식이며 프랑스 선교사 코스트 신부의 설계로 시작되어 P. 시잘레 신부에 의해 증축되었고, 지역사회 기여로 1980년 사적 제287호로 지정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사적 - 강화 곤릉
강화 곤릉은 고려 시대 왕릉 또는 왕비릉으로 추정되며, 묘제적 가치는 낮으나 역사성이 인정되어 사적으로 승격 지정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성 - 계양산성
계양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강 하류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군사적 중요성을 지닌 산성으로, 문헌 기록이 남아있고 유물이 출토되었으나 훼손이 심하여 계양산성 박물관이 개관하여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성 - 강화 초지진
강화 초지진은 조선 시대 강화 해협 방어를 위해 건설된 요새로, 중요한 수비 역할을 수행했으나 신미양요와 운요호 사건으로 파괴된 후 복원되어 현재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강화군의 문화유산 -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는 약 800년 된 노거수로, 볼음도 주민들에게 수호신으로 숭배받으며 풍어와 안녕을 기원하는 대상이자, 늦가을까지 정취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천연기념물이다. - 강화군의 문화유산 - 고려왕릉
고려왕릉은 유교와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조성되었으며, 석상과 석수 등이 배치된 봉분과 돌담으로 둘러싸인 장방형 능역을 갖추고 있고, 잦은 외침과 도굴로 피해를 입었으며, 2013년에는 일부 왕릉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강화 삼랑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이름 | 강화 삼랑성 |
한자 표기 | 江華 三郞城 |
일반 정보 | |
유형 | 사적 |
지정 번호 | 130 |
지정일 | 1964년 6월 10일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산41 |
소유 | 국유, 사유 |
면적 | 245,997m2 |
시대 | 삼국시대 |
문화재청 ID | 13,01300000,23 |
2. 역사
정족산성(鼎足山城)이라고도 불린다. 《고려사》에는 단군의 세 아들이 성을 쌓고 이름을 삼랑성(三郞城)이라 했다는 기록이 있다.[1]
정확한 축조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성곽의 구조가 보은 삼년산성이나 경주 명활산성과 같은 삼국 시대 양식을 보여 삼국 시대에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에는 토성이었으나 이후 석성으로 개축되었으며,[1]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보수되고 활용되었다. 고려 시대인 1259년에는 성 안에 임시 궁궐인 가궐(假闕)을 지었으며,[1] 조선 시대에는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정족산사고와 왕실 족보인 선원보를 보관하는 선원보각이 설치되었다.[1] 영조 15년(1739년)에는 성을 다시 쌓고 남문에 종해루를 세웠다.
특히 고종 3년(1866년) 병인양요 당시 양헌수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이 이곳에서 프랑스군을 격퇴하여,[1] 정족산사고에 보관 중이던 《조선왕조실록》과 《선원보》를 지켜낸 것으로 유명하다.[1] 남문인 종해루는 1976년에 복원되었으며,[1] 현재 성 안에는 전등사가 남아 있다.[1]
2. 1. 삼국 시대 ~ 고려 시대
정족산성(鼎足山城)이라고도 불리며, 단군의 세 아들이 성을 쌓고 이름을 삼랑성(三郞城)이라 했다는 전설이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1]성이 정확히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으나, 성곽의 축조 방식이 보은의 삼년산성이나 경주의 명활산성과 유사한 삼국 시대 성곽의 특징을 보여주므로, 삼국 시대에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에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삼국 시대에 이르러 막돌을 이용하여 쌓고 성벽 안쪽에도 막돌을 채워 넣는 방식으로 튼튼한 석성으로 개축되었다.[1]
고려 시대에도 성이 존재했으며 보수 공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종 46년(1259년)에는 몽골의 침입에 맞서 강화도로 천도한 후 삼랑성 안에 임시 궁궐인 가궐(假闕)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어,[1] 이 시기에도 중요한 방어 시설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 안에는 현재 전등사가 자리 잡고 있다.[1]
2. 2. 조선 시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삼랑성은 더욱 보강되었다. 성 안에는 전등사 외에도 조선 시대에는 사고(史庫)와 선원보각이 있었다. 현종 1년(1660년)에는 마니산에 있던 사고를 이곳으로 옮겨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정족산사고를 세웠으며, 왕실 족보인 선원보를 보관하는 선원보각도 함께 지었다. 하지만 현재 사고와 선원보각은 남아있지 않고 전등사만 남아있다.영조 15년(1739년)에는 성을 다시 쌓으면서 남문에 문루를 만들고 ‘종해루’라고 이름 붙였다.
고종 3년(1866년)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 침략군이 동문과 남문으로 공격해왔으나, 양헌수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이 160여 명의 프랑스군을 물리치고 성을 지켜냈다. 이 전투 덕분에 정족산사고에 보관되어 있던 《조선왕조실록》과 《선원보》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었다.[1]
이후 1976년에 남문인 종해루가 원형대로 복원되었다.[1]
2. 3. 병인양요
고종 3년(1866년) 병인양요 때 삼랑성은 중요한 격전지였다. 당시 동문과 남문으로 공격해 오던 160여 명의 프랑스군을 양헌수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이 물리쳤다.[1] 이 전투의 승리로 성 안에 보관되어 있던 《조선왕조실록》과 왕실 족보인 《선원보》를 외세의 침탈로부터 지켜낼 수 있었다.[1]3. 구조
강화 삼랑성은 흔히 정족산성으로도 불리며, 외부의 성곽과 그 안에 자리한 다양한 시설물로 구성된다. 성곽은 처음 토성으로 축조되었다가 삼국시대 이후 석성으로 개축 및 보강되었으며, 내부에는 전등사 외에도 고려 시대의 가궐(假闕), 조선 시대의 사고 및 선원보각(璿源譜閣) 등이 위치했던 중요한 역사적 공간이다.
3. 1. 성곽
일명 정족산성이라고도 한다. 성을 쌓은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단군이 세 아들에게 성을 쌓게 하고 이름을 삼랑성이라 했다는 기록이 《고려사》에 보인다.처음에는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는데 삼국시대에 이르러 그 위에 막돌을 맞추어가며 쌓았고 성체 안에는 막돌을 채운 튼튼한 석성으로 축조되었으며,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더욱 보강되었다.
성 안에는 전등사는 물론 고려 시대에는 가궐(假闕), 조선 시대에는 사고와 선원보각(璿源譜閣)이 있었다. 현종 1년(1660년)에 마니산에 있던 사고를 이곳으로 옮겨 실록을 보관하였다. 1866년 병인양요 때 이 성을 침략한 프랑스 군을 양헌수 장군의 병사들이 물리쳐 이곳에 보관된 《조선왕조실록》과 왕실 족보인 《선원보》를 지켜냈다.
1976년에 남문인 종해루(宗海樓)를 원형대로 복원했다.[1]
3. 2. 시설물
성 안에는 전등사를 비롯하여 여러 시설물이 있었다. 고려 시대에는 임금이 머물던 가궐(假闕)이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중요한 기록물을 보관하던 사고(史庫)와 왕실 족보를 보관하던 선원보각(璿源譜閣)이 설치되었다. 특히 현종 1년(1660년)에는 마니산에 있던 사고를 이곳으로 옮겨와 조선왕조실록 등을 보관하였다.[1] 1866년 병인양요 때는 양헌수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이 성을 침략한 프랑스군을 물리치고, 사고에 보관 중이던 조선왕조실록과 선원보각의 왕실 족보인 선원보를 지켜냈다.[1] 성의 남문인 종해루(宗海樓)는 1976년에 원래 모습대로 복원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